
감액 배당이란 무엇인가? 예시를 통해 쉽게 이해하기감액 배당은 기업이 자본준비금이나 이익준비금 등 법정 준비금을 줄여서 그 재원으로 주주에게 현금을 지급하는 방식의 배당이다. 일반적으로 배당은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얻은 이익잉여금에서 지급되지만, 감액 배당은 이익이 아닌 자본(출자금)에서 나온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주주가 회사에 투자한 원금을 일부 돌려받는 구조다.감액 배당의 특징과 장점비과세 혜택감액 배당은 소득세법상 ‘자본의 반환’으로 간주되어 배당소득세가 부과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주주는 세금 없이 배당 전액을 수령할 수 있다. 실질 수익률이 일반 배당보다 높아진다.유연한 배당 수단이익잉여금이 부족하거나 일시적으로 이익이 줄어든 기업도 감액 배당을 통해 주주환원을 할 수 있다. 최근에는..

비상장 법인의 무상증자와 유상증자, 그리고 균등증자와 불균등증자 시 세금 문제 총정리비상장 법인의 무상증자와 유상증자, 그리고 균등증자와 불균등증자에 대해 그리고 세금 문제에 대해 실제 사례와 도표를 활용해 쉽게 설명 하고자 한다.무상증자란?무상증자는 회사가 보유한 잉여금(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 등)을 자본금으로 전입해, 기존 주주들에게 돈을 받지 않고 신주를 나누어주는 방식이다. 즉, 회사 내부에 쌓인 돈을 자본금으로 옮기고, 그만큼 주식 수를 늘려 주주들에게 공짜로 배분한다.무상증자 전후 변화 예시 구분 무상증자 전 무상증자(1:1) 무상증자 후 자본금100,000,000원+100,000,000원200,000,000원주식 수100,000주+100,000주200,000주주주별 주식 수 변화주주명무..

법인의 의무등기사항이 아닌 것(비등기사항) 알아보기법인이나 사업을 운영하다 보면 “이건 꼭 등기를 해야 하나?”라는 고민을 하게 된다. 오늘은 등기를 꼭 해야 하는 ‘의무등기사항’과 그렇지 않은 ‘비(非)의무등기사항’을 구분해서, 사례와 도표를 활용해 아주 쉽게 설명해본다.의무등기사항이란?의무등기사항이란, 법률상 반드시 등기해야 하는 사항을 말한다. 만약 등기를 하지 않으면 과태료 등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다. 대표적으로 법인의 설립, 임원(대표이사, 이사, 감사 등) 변경, 본점 이전, 상호 변경, 자본금 변경, 사업 목적 변경 등이 있다.의무등기사항이 아닌 것(비등기사항)은 무엇일까?많은 분들이 헷갈려하는 부분이 바로 ‘이건 꼭 등기해야 하는가?’다. 실제로 등기를 하지 않아도 되는, 즉 의무등기사..

특수관계인 간의 저가 매입과 고가 매입 쉽게 풀어보기자산을 사고팔 때는 보통 ‘시가’(시장 가격)로 거래하는 것이 원칙이다. 하지만 가족이나 계열사 등 특수관계인끼리 거래를 하다 보면 시가보다 싸게(저가 매입) 또는 비싸게(고가 매입) 거래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런 거래는 세법상 여러 가지 세금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 실제 사례와 함께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보겠다.저가 매입(시가보다 싸게 사는 경우)저가 매입이란?예를 들어, 시가가 10억 원인 아파트를 아버지로부터 7억 원에 샀다고 해보자.이때 아들은 3억 원만큼 싸게 샀으니, 그만큼의 ‘경제적 이익’을 얻은 셈이다.세법에서는 이렇게 본다세법은 이런 이익을 ‘증여’로 본다. 즉, 아버지가 아들에게 3억 원을 그냥 준 것과 비슷하다고 판단해 증여세를..